전체
1년
1달
기간설정
-
'건설노동자'
에 대한 전체 검색결과 입니다.
태그기사
총14건
계룡건설, 일용직 근로자 '직접 주급 지급제' 도입
본사, 매주 결제·집행…임금 지급 투명성 계룡건설이 건설현장 일용직 근로자의 생활 안정을 위해 임금을 주 단위로 직접 지급하는 '직접 주급 지급제'를 도입했다. /계룡건설[더팩트|이중삼 기자] 계룡건설은 건설현장 일용직 근로자의 생활 안정을 위해 임금을 주 단위로 직접 지급하는 '직접 주..
2025.09.15
쪽방에 스마트화재예방시스템…서울시 '한파종합대책' 가동
한파특보 시 24시간 종합지원상황실 가동 온열의자·방풍텐트 확충…이동노동자 쉼터 한파 취약계층을 위한 시설점검을 위해 동행목욕탕(아현스파랜드)을 찾은 오세훈 서울시장이 2023년 12월 18일 수면실 바닥의 난방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서울시[더팩트 | 김해인 기자] 서울시가 시민들의 안전..
2024.11.25
"물 좀 달라"…폭염에 쓰러지는 건설노동자 '작업중지권' 도마위
최근 6년간 온열질환 산업재해 승인 건수 147건 중 70건 건설업 근로자 '작업중지권' 도입 목소리 높아져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으로 쓰러지는 건설노동자들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지난달 8일 오전 서울 성북구 장위4구역 주택정비사업 건설현장에서 폭염 대응 관련 안내문이 게시돼 있다. /뉴시스[더..
2024.09.25
더보기 >
기사
총65건
천안의료원, 2025년 특수건강진단기관평가 'A등급' 획득
3회 연속 우수기관 선정…충남 북부권 공공의료 대표기관 위상 입증 천안의료원 전경 /천안의료원[더팩트ㅣ천안=정효기 기자] 충남 천안의료원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이 주관한 '2025년 특수건강진단기관 평가'에서 3회 연속 A등급(우수)을 획득했다고 20일 밝혔다.이번 평가는 전국 1020개 민..
2025.10.20
"건설사 불법행위 단속 강화해야"…건설노조 총파업 돌입
"정당한 임금, 안전한 일터 등 보장 절실" 민주노총 전국건설노조는 16일 서울 관악구 신대방동 일원에서 가두행진과 건설노동자 총파업 투쟁 출정식을 가졌다./ 건설노조[더팩트ㅣ강주영 기자] 민주노총 전국건설노조가 16일 "건설사의 불법 도급과 불법 고용, 중대재해, 임금체불 해결이 시급하다"며..
2025.10.16
박용갑 의원, '대한민국의정대상' 수상…"대전 중구 주민과 함께 만든 성과"
국회 상임위 출석률 100%·본회의 출석률 98.6%·대표발의 법률안 73건 25일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제13회 대한민국의정대상'에서 박용갑 민주당 의원(대전 중구, 사진 오른쪽)이 대상을 받고 있다. /박용갑 의원실[더팩트ㅣ대전=선치영 기자]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용갑 더불어민주..
2025.09.25
정치가 건설업계 덮쳤다…'노란봉투법' 통과 후폭풍 예고
노동계 "역사적 결실" vs 경영계 "유감" 노조 투쟁·건안법 제정 속도…업계 '시름'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지난 7월 2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노조법 2·3조 개정안(노란봉투법) 등 노동조합·노동관계조정법 개정(안)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시스[더팩트|이중삼 기..
2025.09.02
'산재'에 칼끝 겨눈 李정부…건설업계 '사면초가' 위기
이 대통령 "안전조치 소홀히 하면 더 큰 손해 보게 해야" 중대재해 반복 발생한 기업 '공공입찰' 제한 이재명 대통령이 22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제1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뉴시스[더팩트|이중삼 기자] "후진적인 산재 공화국을 뜯어고치겠다."(이재명 ..
2025.08.22
인권위원장 "정부, 폭염 속 노동자 생명권 대책 마련해야"
안창호 국가인권위원회(인권위) 위원장이 폭염 속 야외에서 일하는 노동자가 잇따라 사망하자 정부에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사진은 33도가 넘는 이날 야외에서 일하는 노동자 모습. /정인지 기자[더팩트ㅣ김영봉 기자] 안창호 국가인권위원회(인권위) 위원장은 11일 성명을 내고 "지속되는 폭..
2025.07.11
더보기 >
포토기사
총5건
진보당, 서민·노동자와 22대 국회..
진보당 윤희숙 "尹 정권 심판하고 ..
진보당 "반 윤석열 공동행동으로 정..
'총력투쟁 선포'한 민주노총 건설노..
진보당 '건설노동자 추모와 건설노조..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