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1년
1달
기간설정
-
'건설기성'
에 대한 전체 검색결과 입니다.
태그기사
총4건
산업 기둥 흔들린다…건설업 일자리·투자 전방위 위기
건설 고용 부진·근로자 임금 감소·청년 이탈 가속화 정부, '건설업 일자리 지원방안' 약발 통하지 않아 내수 부진 영향으로 건설업 등 일부 업종에서는 고용 한파가 지속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건설업 취업자는 193만2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8.7% 줄었다. /뉴시스[더팩트..
2025.04.10
KDI "건설업 부진·수출 여건 악화로 경기 하방 위험 확대"
자동차·일반기계 등 직접 위험 노출 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한국 경제의 경기 하방 위험이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건설업 부진과 수출 여건 악화를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더팩트 DB[더팩트|이중삼 기자]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국내 경제의 경기 하방 위험이 커지고 있다..
2025.03.10
[’25 건설] 걷힐 기미 없는 업계 먹구름…정부 '심폐소생' 시행
뒷걸음질만 쳤던 건설경기…올해는 나아질까 업계 부담 줄이기 위한 '건설비 현실화 3종 패키지' 정부가 불황의 터널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건설업계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특단의 조치를 내놨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해 12월 31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
2025.01.04
더보기 >
기사
총10건
11월 산업생산 3개월 연속 감소…소비는 반등
전산업생산 0.4% 감소…설비투자 1.6% 줄어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11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산업 생산(계절조정지수·농림어업 제외)은 112.6으로 전월 대비 0.4% 감소했다. /더팩트 DB[더팩트|황준익 기자] 지난달 국내 생산과 투자가 감소세를 이어간 ..
2024.12.30
'남성 중심' 건설현장서 여성 근로자 늘었다는데…남은 과제는?
여성 건설 기술인 매년 증가 추세 근무환경 개선·도배 등 작업서 여성 역할 커져 여성 전용 화장실·탈의실·휴게실 설치 필요 건설현장에서 여성 건설근로자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여전히 남성 근로자보다는 압도적으로 적지만, 근무환경 개선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클립아트코리아[더팩트|이..
2024.09.26
KDI "韓 경제, 미약한 내수 수준이 경기 개선 제약"
7일 경제동향 8월호 발표 7월호 '미약'보다 톤 높아져 KDI는 '경제동향 8월호'를 통해 한국 경제의 경기 개선이 제약되고 있다고 7일 밝혔다. /더팩트 DB[더팩트ㅣ이한림 기자] 국책연구원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한국 경제가 미약한 내수 수준으로 경기 개선이 제약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2024.08.07
11월 생산·소비 증가 전환…투자는 2개월째 감소
통계청 '2023년 11월 산업활동동향' 발표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23년 11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생산과 소비가 증가 전환했다. 사진은 지난 10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들의 모습. /뉴시스[더팩트ㅣ정소양 기자] 지난달 국내 생산과 소비가 증가 전..
2023.12.28
8월 산업 생산, 30개월 만에 최대 폭 증가…반도체 13.4%↑
소비는 소폭 감소 통계청은 8월 산업활동동향을 통해 8월 전산업 생산지수가 7월보다 2.2% 오른 112.1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더팩트 DB[더팩트 | 이한림 기자] 8월 산업 생산이 30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지만, 소비는 소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4일 통계청이 발표한 8월 산업..
2023.10.04
공사비 급등→시공권 자진 포기하는 대형 건설사 속출
시공 원가율 급등에 사업성 고민 '배가' 도급순위 최상위 건설사도 수주 포기↑ '매출감소·잉여인력·주택공급' 악순환 걱정 자재값 상승과 사업성을 둘러싼 건설사들의 고민이 깊어지면서 수주를 포기하거나 시공권을 박탈 당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사진은 수도권 아파트 공사 현장. 기사 내용과 ..
2023.06.27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