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1년
1달
기간설정
-
'건설노동자'
에 대한 전체 검색결과 입니다.
태그기사
총13건
쪽방에 스마트화재예방시스템…서울시 '한파종합대책' 가동
한파특보 시 24시간 종합지원상황실 가동 온열의자·방풍텐트 확충…이동노동자 쉼터 한파 취약계층을 위한 시설점검을 위해 동행목욕탕(아현스파랜드)을 찾은 오세훈 서울시장이 2023년 12월 18일 수면실 바닥의 난방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서울시[더팩트 | 김해인 기자] 서울시가 시민들의 안전..
2024.11.25
"물 좀 달라"…폭염에 쓰러지는 건설노동자 '작업중지권' 도마위
최근 6년간 온열질환 산업재해 승인 건수 147건 중 70건 건설업 근로자 '작업중지권' 도입 목소리 높아져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으로 쓰러지는 건설노동자들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지난달 8일 오전 서울 성북구 장위4구역 주택정비사업 건설현장에서 폭염 대응 관련 안내문이 게시돼 있다. /뉴시스[더..
2024.09.25
건설근로자 평균 일당 18만3000원…연소득 3592만원
건설근로자공제회, '2024년 종합생활 실태조사' 발표 건설근로자의 평균 일당은 18만3000원으로 2년 전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팩트 DB[더팩트|이중삼 기자] 건설근로자의 평균 일당은 18만3000원으로 2년 전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건설근로자공제회는 2일 이같은 내용이 담..
2024.09.02
더보기 >
기사
총57건
경기도, 설 연휴 대비 철도건설 현장 종합 점검
도봉산~옥정선 3개 현장 안전관리 실태 살펴 하도급 대금·노동자 임금·장비 대금 지급 확인 경기도청사 전경./경기도[더팩트ㅣ의정부=양규원 기자] 경기도가 설 연휴를 앞두고 오는 15일까지 철도 건설 현장 종합 점검을 실시한다.13일 경기도에 따르면 점검 대상은 도에서 직접 공사 중인 도봉산..
2025.01.13
여수시노사민정협의회, 산단 노사 상생발전 공동선언
노동 현장 특성 반영한 중장기적이고 종합적인 실행 방안 마련 여수시(시장 정기명)가 노사민정 각 분야의 대표자와 2024년 하반기 노사민정협의회를 갖고 ‘여수국가산단 노사 상생발전 공동선언문’을 채택 선포했다./여수시[더팩트ㅣ여수=진규하 기자] 정기명 전남 여수시장이 위원장을 맡고 있는..
2024.12.09
국립한밭대, 한국-베트남 글로벌 디자인 경진대회 '대상'
학생 3개 팀이 수상하는 성과 거둬 베트남 호치민경제대학교서 진행된 ‘2024 글로벌 캡스톤디자인 한국-베트남 창의아이디어 경진대회’에서 목원대 학생 3개 팀이 수상하며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목원대[더팩트ㅣ대전=이병수 기자] 목원대학교 LINC 3.0 사업단은 대전권대학 산학협의체(..
2024.12.03
고양시·5개 대형 건설사, '30% 이상 하도급' 지역경제 활성화 업무협약 체결
시, 건설업자 정보 등 제공…건설사, 지역 내 건설업체·건설기기·자재 사용 지난 21일 이동환 고양시장(왼쪽 4번째)를 비롯해 제일건설㈜·일신건영㈜·㈜반도건설·디엘이앤씨㈜·금호건설㈜ 관계자들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은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고양시..
2024.10.22
"물 좀 달라"…폭염에 쓰러지는 건설노동자 '작업중지권' 도마위
최근 6년간 온열질환 산업재해 승인 건수 147건 중 70건 건설업 근로자 '작업중지권' 도입 목소리 높아져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으로 쓰러지는 건설노동자들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지난달 8일 오전 서울 성북구 장위4구역 주택정비사업 건설현장에서 폭염 대응 관련 안내문이 게시돼 있다. /뉴시스[더..
2024.09.25
민노총 여수지부 연이은 일용직 노동자 사망관련 폭염대책 촉구
온열질환 예방 위한 ‘물, 그늘, 휴식’ 현수막 구호에만 그쳐 여수산단 전경./여수산단[더팩트ㅣ여수=진규하 기자] 최근 여수산단에서 폭염속에 대낮에 일하다가 2명의 노동자가 연이어 목숨을 잃은 것과 관련해 민주노총 여수지부가 비정규직과 계약직 및 일용직 등 모든 노동자들에 대한 폭염대책..
2024.08.12
더보기 >
포토기사
총5건
진보당, 서민·노동자와 22대 국회..
진보당 윤희숙 "尹 정권 심판하고 ..
진보당 "반 윤석열 공동행동으로 정..
'총력투쟁 선포'한 민주노총 건설노..
진보당 '건설노동자 추모와 건설노조..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