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1년
1달
기간설정
-
'고려인'
에 대한 전체 검색결과 입니다.
태그기사
총14건
문 빅토르 화백, 고려인 강제이주 아픈 역사 증언 '큰 울림'
지역 방송 인터뷰 통해 강제이주 가족사 증언 문 빅토르 화백과 '우수리스크의 할아버지'/ 더팩트 DB[더팩트 l 광주=나윤상 기자] 광주 고려인마을에 정착한 큐비즘의 대가인 문 빅토르 화백이 고려인 강제이주 역사에 대해 증언하며 큰 울림을 주고 있다.6일 고려인마을에 따르면 문 화백은 지역 방송사..
2025.02.06
尹 대통령 "동포 자부감 갖도록 우즈벡과 미래 열어갈 것"
고려인 포함 현지 동포 140명 초청 만찬 간담회 "정상회담서 양국 국민 체감할 수 있는 성과 도출" 우즈베키스탄을 국빈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13일 오후(현지시간) 타슈켄트 힐튼호텔에서 열린 동포 만찬 간담회에 참석, 기념촬영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과거 연해주에서 강제 이주돼 ..
2024.06.14
오스템임플란트, 카자흐스탄 항일 독립유공자 후손에 건강용품 후원
엄태관 대표 "유공자 후손 지원 방안 지속 모색" 오스템임플란트 엄태관 대표이사(오른쪽)가 카자흐스탄 국립 의과대학교 칼마타예바 잔나 아만타예브나 대학부총장(왼쪽)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오스템임플란트[더팩트ㅣ장병문 기자] 오스템임플란트가 카자흐스탄독립유공자후손회(이하 유공자 후손회)에 치..
2024.02.06
더보기 >
기사
총177건
신한은행, 우즈베키스탄 해외의료봉사단 발대식 개최
고려인 노인들 위한 의치(틀니) 보철 치료 새롭게 진행 지난 2일 서울시 종로구 소재 서울대학교치과병원에서 진행한 우즈베키스탄 해외의료봉사단 발대식에서 해외의료봉사 기금을 전달하고 정상혁 신한은행장(오른쪽)과 이용무 서울대학교치과병원장이 기념 촬영하는 모습. /신한은행[더팩트ㅣ이선영 기자] 신..
2025.04.03
최연숙 당진시의원, 고려인 지원정책 필요성 제기
5분 자유발언…안정적 정착과 선도적인 지원정책 수립 촉구 최연숙 당진시의원은 18일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고려인의 안정적인 지역사회 정착을 위한 선도적인 지원정책 수립을 촉구했다. /당진시의회[더팩트ㅣ당진=천기영 기자] 최연숙 충남 당진시의회 의원은 18일 제118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
2025.03.18
광주 고려인마을, 삼일절 '만세운동' 재현행사 참가자 모집
3월 1일 오전 10시부터 고려인마을 일원서 진행 지난해 고려인마을 3.1절 행사 모습 /고려인마을[더팩트 l 광주=나윤상 기자] 광주 광산구 월곡동에 위치한 고려인마을은 다가오는 삼일절 106주년을 맞아 '빼앗긴 조국, 그날의 함성'을 주제로 만세운동 재연행사 참가자를 모집한다고 17일 밝혔다...
2025.02.17
문 빅토르 화백, 고려인 강제이주 아픈 역사 증언 '큰 울림'
지역 방송 인터뷰 통해 강제이주 가족사 증언 문 빅토르 화백과 '우수리스크의 할아버지'/ 더팩트 DB[더팩트 l 광주=나윤상 기자] 광주 고려인마을에 정착한 큐비즘의 대가인 문 빅토르 화백이 고려인 강제이주 역사에 대해 증언하며 큰 울림을 주고 있다.6일 고려인마을에 따르면 문 화백은 지역 방송사..
2025.02.06
충남교육청, 전통 줄다리기 밧줄 우즈베키스탄에 기증
누리한글 사업 연계 타슈켄트 1세종학당에 밧줄 2개 지원 우즈베키스탄의 타슈켄트 체육대회에서 교민들이 줄다리기를 하고 있다(타슈켄트 1세종학당 제공). /충남교육청[더팩트ㅣ내포=이병수 기자] 충남교육청이 우즈베키스탄의 한국어교육과 한국문화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비행기 특송으로 보낸 전통 줄다리기..
2025.01.16
경기도, '2025년 외국인주민·고려인동포 지원사업' 참여 단체 공모
외국인 주민·고려인 동포 정착 지원·인식 개선 등 3개 부문 도내 등록 비영리단체·법인·대학 등…최대 3000만 원 지원 경기도 청사 전경./경기도[더팩트ㅣ의정부=양규원 기자] 경기도가 외국인 주민과 고려인 동포의 지역 사회 정착을 촉진하기 위해 진행하는 ‘2025년 외국인 주민..
2025.01.09
더보기 >
포토기사
총7건
이태원참사 2주기 '눈물 흘리는 아..
'여전히 그리운 내 딸' 이태원참사..
'우크라 전쟁 발발 1년' 위로의 ..
희망브리지, 우크라이나 전쟁 난민에..
이광재 외통위원장, "우크라이나 고..
'우크라이나 탈출해 가족 품으로' ..
'78년 만에 고국서 영면' 홍범도..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