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1년
1달
기간설정
-
'의사인력'
에 대한 전체 검색결과 입니다.
태그기사
총3건
[건강권 위기①] 병원 찾아 헤매다 죽는 환자들···‘동희의 한' 잊었나
의사인력 지역 격차·필수의료 의사 부족···여론 "의대 증원" 응급실 뺑뺑이 막는 '수용거부 표준지침' 현장 안착 미흡 '환자 수용 거부, 생명을 지우는 선택' 구급차 뺑뺑이 대책 마련 촉구 소방본부 기자회견이 2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앞에서 열린 가운데 노조원들이 손피켓을 ..
2025.06.12
의협, 추계위 추천 안하고 기간 연장 요구···복지부 검토
마감 기한 지났지만 의사 단체들 추천 안 해 정부에 추천·선정 기준 요구, 기한 연장 요청 사진은 지난 1월 14일 김택우 대한의사협회 회장과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현재 의협 부회장 겸임). /서예원 기자[더팩트ㅣ이준영 기자] 대한의사협회가 2027학년도 의대 정원을 논의하는 ..
2025.04.29
[의대증원 파장] 의사단체 "내년 정원 논의해야 '의료인력추계위' 참여"
"서울의대 휴학 승인 적극 지지…교육부 감사 유감" 대한의사협회(의협)와 대한의학회,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 등 5개 단체는 2일 진행된 연석회의 후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브리핑을 열고 2025년..
2024.10.02
더보기 >
기사
총48건
충남 국립공주대 의대 신설 범도민 서명 100만 돌파
도, 100만 서명 돌파 기념행사 및 토론회 개최 14일 충암도서관에서 김태흠 도지사를 비롯해 300여 명이 참여해 국립공주대 의대 신설 범도민 서명 100만 돌파 기념행사가 열렸다. /충남도[더팩트ㅣ내포=이정석 기자] 충남도는 국립공주대 의대 신설 범도민 서명이 100만 명을 돌파했다고 ..
2025.08.14
2027년 의대 정원 논의···의사수급추계위 첫 회의
위원 15명 중 의사 단체 추천이 8명 과반 위원장 선출···학회·연구기관 추천위원 중 2027년 의과대학 정원을 논의하는 의사인력 수급추계위원회가 12일 첫 회의를 연다. 사진은 지난 5월 9일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 사진=서예원 기자[더팩트ㅣ이준영 기자] 2027년 의과대학 정..
2025.08.12
전공의 돌아와도···필수·지역의료 부족 여전
하반기 전공의 1만3498명 모집 시작 11일 의료계에 따르면 전국 수련병원들은 이날 사직 전공의 등 대상으로 하반기 모집을 시작했다. 사진은 지난 5월 9일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 사진=서예원 기자[더팩트ㅣ이준영 기자] 사직 전공의들이 복귀해도 필수의료와 지역의료 부족 현상은 이어질 전..
2025.08.11
'2027년 의대 증원 논의' 의사인력 수급추계위 구성
전문가 15인 위원 위촉 의사단체 추천 위원 8명 8월 초 1차 회의 보건복지부는 의사인력 수급추계위원회 위원 15명을 위촉했다고 31일 밝혔다. 사진은 지난 5월 9일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 사진=서예원 기자[더팩트ㅣ이준영 기자] 보건복지부는 의사인력 수급추계위원회 위원 15명을 위촉..
2025.07.31
의협 "의대생에 사과 요구, 정당한지 돌아봐야"
추계위원 위촉에는 "납득할 만한 명단" 대한의사협회(의협)는 31일 복귀하는 의과대학 학생들에게 사과를 요구하는 국민 여론에 대해 "사과 요구가 과연 정당한 것인가를 주의 깊게 봐야 한다"고 밝혔다./장윤석 기자[더팩트ㅣ조채원 기자] 대한의사협회(의협)는 31일 복귀하는 의과대학 학생들에게 사..
2025.07.31
정부, 국민참여 의료혁신위 9월 출범 계획
'진료지원 간호사 업무 범위' 8월 이후 입법예고 예정 정부가 의료개혁을 위한 국민참여 의료혁신위원회를 출범한다는 계획으로 29일 전해졌다. 진료지원 간호사의 구체적 업무 범위 등을 담은 간호법 하위법령은 8월 이후 입법예고할 예정이다. 사진은 지난 5월 9일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 사진..
2025.07.29
더보기 >
포토기사
총5건
'의료 공백 1년'…입술 부르튼 조..
보건의료 총파업 돌입, 빗속 2만여..
보건의료노조·사무금융노조, 폭우 속..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전면 확대!'..
[TF포토] '의사인력 배출 정상화를..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