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1년
1달
기간설정
-
'지방시대위원회'
에 대한 전체 검색결과 입니다.
태그기사
총12건
경기도 올해 2조 6136억 원 규모 지방시대 시행계획 마련…"기회의 경기 실현"
경기도 지방시대위원회 회의 모습./경기도[더팩트ㅣ수원=유명식 기자] 경기도가 올해 2조 6136억 원 규모의 지방시대 시행계획을 수립, 중앙지방시대위원회에 제출했다.경기도는 지난 25일 지방시대위원회를 열어 시행계획을 심의·의결했다면서 28일 이 같이 밝혔다.지방시대 시행계획은 지방자치와 지역 ..
2025.02.28
대구경북 행정통합 사실상 무산…대통령실·행안부 마비로 추진 동력 잃어
이철우 경북도지사, 장기 과제로 넘길 뜻 밝혀 대구시와 경북도의 행정통합을 홍보하는 현수막이 대구 경북 지역 곳곳에 걸려 있다. 사진은 대구시청 동인청사 앞./ 박병선 기자[더팩트┃대구=박병선 기자] 비상계엄 사태의 여파로 대구시와 경북도가 중점적으로 추진해온 행정통합이 사실상 무산됐다.이철우..
2024.12.10
대구참여연대 "행정통합, 기대효과 터무니없이 부풀려져"
기대효과 검증, 주민투표 등 근본부터 재논의 해야 대구시청 전경./대구=박성원 기자[더팩트ㅣ대구=박성원 기자] 대구참여연대가 TK행정통합의 기대효과가 터무니없이 부풀려져 있다며 검증이 필요하다고 비판했다.7일 대구참여연대는 성명을 통해 "지금의 행정통합은 너무나 문제가 많아 이대로면 통합 자체..
2024.11.07
더보기 >
기사
총122건
[고루고루-끝] 소멸지역 속 악전고투…그래도 희망은 있다
지역 머무를 이유, 정부가 설명할 수 있나 지방소멸 대응에 청년들 문제의식 담겨야 청년농촌 보금자리로 되찾은 아이들 '주목' 지역 균형과 지방소멸은 더 이상 외면할 수 없는 국가적 과제다. <더팩트>가 5월 20~23일 전국 각지에서 만난 10여 명의 귀농·귀촌 청년들은 지역에 머물러..
2025.07.01
경남도, 민선자치 30주년 '자치분권 열린포럼' 개최
민선자치 30년의 성과 평가 및 경남형 자치분권 비전 모색 2025년 경남도 자치분권 열린포럼/경남도[더팩트ㅣ창원=이경구 기자] 경남도는 27일 창원컨벤션센터에서 ‘2025년 경남도 자치분권 열린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이번 포럼은 민선자치 30주년을 맞아 경남도의 민선자치 30년 성..
2025.06.27
[2-1=1+1=2 ③] '분산' 아닌 '분권'…지역균형은 통합 대전제
盧부터 尹까지, 20여 년 '균형발전' 주력 수도권 일극화 고착…국민통합 저해 수준 새 정부 출범 시 '지방 분권' 약속 지켜야 지역균형발전은 국민통합의 대전제다. 다만 지방 분권이 아닌 분산 정책이 되풀이되면서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불균형은 국민통합을 저해하는 수준을 넘어섰다. 새 정..
2025.05.31
경남도, 기회발전특구 3차 신청…밀양 나노·창녕 소재부품·하동 이차전지
경남도 기회발전특구 현황. /경남도[더팩트ㅣ경남=이경구 기자] 경남도는 30일 밀양 나노융합국가산업단지(미래 첨단소재·부품 지구), 창녕 대합·영남일반산업단지(미래모빌리티 소재·부품 지구), 하동 대송산업단지(이차전지 모빌리티 소재 지구) 등 총 221만㎡를 기회발전특구로 추가 신청했다고..
2025.05.30
최민호 세종시장, 시도지사협의회에 행정수도 완성 공감 확산 요청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제18대 임원단 간담회에 참석 행정수도 세종 완성·지방분권 종합타운 조성 사업 제안 26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제18대 임원단 간담회가 열려 (사진 왼쪽부터) 유민봉 대한민국시도협의회 사무총장, 박완수 경남도지사(부회장), 유정복 인천시장(회장), ..
2025.05.27
대전시, 글로벌 혁신특구 본격 가동…"규제를 넘어 세계로"
국내 최초 합성생물학 기반 첨단 바이오제조 특구 지정 공공 생산시설·규제 완화·글로벌 연계로 전주기 사업화 지원 대전시청 전경./대전시[더팩트ㅣ대전=정예준 기자] 대전시가 '합성생물학 기반 첨단 바이오제조 글로벌 혁신특구'로 최종 지정돼 6월부터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간다.이번 지정은 전국 ..
2025.05.21
더보기 >
포토기사
총3건
'문화예술교육 정책 세미나' 발제하..
'대구·경북 통합' 합의...서울시..
'이제는 지방시대' 제4차 지방시대..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