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1년
1달
기간설정
-
'취업자수'
에 대한 전체 검색결과 입니다.
태그기사
총9건
2월 취업자 수 13만6000명 늘어…건설·제조업 고용 한파 여전
통계청, 2025년 2월 고용동향 발표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2025년 2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817만9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13만6000명(0.5%) 늘었다. 사진은 지난달 14일 오후 서울시내 한 대학교 채용게시판에 관련 공고가 게시돼 있다. /뉴시스[..
2025.03.12
1월 고용률 68.8%…청년층·건설업 '취업 한파' 지속
통계청, 2025년 1월 고용동향 발표 건설·제조·도소매업 취업자 감소세 1월 취업자 수가 전년 동월 대비 늘었다. 하지만 20대 이하와 50대, 건설업 등은 고용 한파가 지속됐다. /뉴시스[더팩트ㅣ허주열 기자] 1월 취업자 수가 전년 동월 대비 13만5000명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지..
2025.02.14
12월 취업자 수, 3년 10개월 만에 감소 전환…계엄 등 여파
건설업 가장 많이 줄어 OECD 기준 고용률 0.2%P 상승 15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5만2000명 감소한 2804만1000명으로 집계됐다. /더팩트 DB[더팩트ㅣ이한림 기자] 지난해 12월 취업자 수가 3년 10개월 만에 감소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5.01.15
더보기 >
기사
총16건
이창용 "추경 20조 편성시 성장률 1.7%…재정정책과 공조 필요"[일문일답]
추경 15조~20조원 편성하면 0.2% 성장 전망…더 많으면 부작용 우려 기준금리 인하 기조 확실…대내외 상황 보고 '속도 조절'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뉴시스[더팩트 | 김태환 기자] 이창용..
2025.02.25
10월 취업자 8만3000명↑···넉달 만에 증가폭 10만명 밑돌아
도소매업·건설업 취업자 수 크게 줄어 실업률, 1년 전보다 0.2%포인트 상승 13일 통계청이 발표한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는 2884만7000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8만3000명 늘었다. /더팩트 DB[더팩트ㅣ이라진 기자] 취업자수 증가폭이 넉달 만에 10..
2024.11.13
예산군, 2024년 전국 지방자치단체 일자리 대상 ‘우수상’ 수상
수상 고용률 77%, 당초 목표 초과 달성 서울 엘타워에서 일자리 대상 우수상 수상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예산군.[더팩트ㅣ서산=이수홍 기자] 충남 예산군은 고용노동부 주관으로 열린 2024 전국 지방자치단체 일자리 대상에서 일자리 목표 공시제 부문 우수상을 수상했다고 12일 밝혔다.일..
2024.08.12
내년 경제 어렵다…성장률 1.6% 그치고 물가상승률 3.5% 달해
정부, 2023년 경제정책방향 발표 내년성장률 전망치, KDI·한은보다 낮아 OECD가 한 달만에 한국 경제성장률을 낮췄지만, 여전히 회원국 중엔 가장 높은 성장률을 차지했다. /이동률 기자[더팩트│황원영 기자] 정부가 내년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대폭 낮추면서 경기침체..
2022.12.21
고양시, '전국 지방자치단체 일자리대상' 장관상 수상
지난해도 일자리대상 수상...경기도 지자체 중 유일하게 4년 연속 본상 받아 고양시, ‘2022 전국 지방 자치단체 일자리대상’ 장관상 수상/고양시 제공[더팩트 | 고양=안순혁 기자] 고양특례시가 고용노동부 주관 ‘2022 전국 지방 자치단체 일자리대상’에서 장관상을 수상했다. 전국..
2022.07.22
한은 "물가 6% 넘고 성장률은 2.7% 미달…금리인상 이어갈 것"
사상 첫 빅스텝 단행…금리 2.25%로 뛰어 금통위는 13일 열린 통화정책방향 회의 의결문에서 소비자물가가 당분간 6%를 상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사진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 참석하고 있는 모습. /사진공동취재단[더팩트│..
2022.07.13
더보기 >
포토기사
총3건
통계청 "8월 취업자수 26만 80..
통계청 "6월 취업자수 33만 30..
3월 취업자수 83만1000명 증가..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