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1년
1달
기간설정
-
'5인이상'
에 대한 전체 검색결과 입니다.
태그기사
총28건
오늘(27일)부터 중대재해처벌법 5~49인 사업장으로 전면 확대
중대재해 발생 시 사업주 1년 이하 징역 또는 10억 이하 벌금 오늘부터 5인 이상, 50인 미만 사업장에 대해서도 중대재해처벌법이 적용된다.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2022년 11월 30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중대재해 로드맵을 발표하고 있다. /이동률 기자[더팩트ㅣ이헌일 기자] ..
2024.01.27
경남 전역 17일 0시부터 '5인 이상 사적모임 금지'
김경수 경남도지사가 16일 오전 코로나19 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비상방역체제 가동을 논의하고 있다. 이에 따라 경남 전역에 17일 0시부터 5인 이상 사적모임 금지가 적용된다. /경남도 제공17일 0시부터 28일까지 12일 간 시행 [더팩트ㅣ창원=강보금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
2021.07.16
수도권 거리두기 개편 1주 유예…'5인 금지' 유지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서 당초 7월1일 예정이었던 새로운 거리두기 체계 적용이 미뤄졌다. 26일 오전 서울 강서구 공항동 김포국제공항 국내선은 제주 등 여행지로 떠나는 여행객들로 붐비고 있다. /임영무 기자[더팩트ㅣ이헌일 기자]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서 당초 7월1일 예정이었던 ..
2021.06.30
더보기 >
기사
총30건
천안시, ‘2024 농어민수당’ 천안사랑카드로 지급
8월 1일부터 천안사랑카드로 지급…충전 즉시 사용가능 천안시청 전경. /천안시[더팩트ㅣ천안=박월복 기자] 충남 천안시가 농업의 공익적 가치를 보장·증진하고 소상공인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농어민수당을 1일부터 지급한다고 밝혔다.천안시는 지난 2월부터 주소지 ..
2024.08.01
해남군, 마을 공동체·으뜸마을 사업 지속 추진
자원조사·돌봄·경관개선 등 다채롭게 진행…1월 말까지 신청 접수 해남군은 마을과 공동체에 따뜻한 활력을 불어넣고 있는 마을 공동체 활동지원사업과 으뜸마을 만들기 사업을 올해도 적극 추진한다고 16일 밝혔다./해남군[더팩트 l 해남=오중일 기자] 전남 해남군은 마을과 공동체에 따뜻한 활력을 ..
2024.01.16
양양공항, 단체관광객 무사증 입국 허가제도 연장 승인
2023. 6. 1. ~ 2024. 5. 31. 1년 연장 승인 양양국제공항 활성화 및 외국인 관광객 유치 탄력 기대해 28일 강원도는 법무부로부터 양양국제공항 무사증 입국 허가제도를 내년 5월까지 1년 연장 승인 받았다고 밝혔다./양양=서백 기자[더팩트ㅣ양양=서백 기자] 강원도는 법무부로부터..
2023.04.28
[단독] '이 와중에', 농어촌공사 직원 십수명 업자와 수차례 식사
한국농어촌공사 직원 십수명이 방역수칙(5인이상 집합금지)을 어기고 업자와 식사 자리를 가진 사실이 국무조정실 공직감찰에서 적발됐다. 사진은 한국농어촌공사 전경. /한국농어촌공사 제공국무조정실 공직 감찰서 총 4차례…비용도 업자가 계산 [더팩트ㅣ인천=차성민기자] 한국농어촌공사 직원 십수명이 방..
2021.07.27
김영록 지사, “2주간 사적모임 4명으로 제한”
김영록 전라남도지사가 19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비수도권 5명 이상 사적모임 금지에 따른 비대면브리핑을 열고 ”휴가철·방학철을 맞아 수도권을 비롯한 타지역 방문객들이 전남도를 찾을 것으로 예상돼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며 ”5인이상 사적모임 금지와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방역수칙을 반드시..
2021.07.19
대구시, 거리두기 인원제한 '5인이상 사적모임' 금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이 전국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지난 1일부터 완화된 대구시 거리두기 인원제한이 8명에서 다시 4명까지 모임이 허용되는 것으로 강화된다. 대구시청 전경 / 박성원 기자19일부터 8월 1일까지 2주간 적용 [더팩트ㅣ대구=박성원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
2021.07.19
더보기 >
포토기사
총5건
'사회적 거리두기 실종'…휴일 맞아..
'잊혀진 사회적 거리두기' [포토]..
정 총리,'거리두기 3주간 현행유지..
'현행 거리두기 2주 연장'…5인이..
'5인이상 집합금지 연장' [포토]..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