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1년
1달
기간설정
-
태그기사
총32건
서울시, 제빵용 도구 198건 중금속 검사…'모두 안전'..
납,카드뮴,비소,니켈 4종 안전 서울특별시보건환경연구원(연구원)은 홈베이킹 조리기구를 재질별로 분류해 중금속 안전성 검사를 실시했다./서울시[더팩트ㅣ설상미 기자]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연구원)이 제과·제빵용 조리도구 중금속 안전성 검사를 실시한 결과 모두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서울시는 지난해..
2025.02.18 06:02
경기도 특사경,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 불법행위 집중 수사..
무허가 유해화학물질 취급영업 행위 등 7개 항목 집중 점검 유해화학물질 취급업체 불법행위 집중수사 안내 포스터./경기도 특사경[더팩트ㅣ수원=신태호 기자] 경기도 특별사법경찰단은 오는 3일부터 14일까지 도내 유해화학물질 취급업체 불법행위를 집중 수사한다고 2일 밝혔다.도는 전국에서 유해화학물질..
2025.02.02 09:02
'해외직구' 휴대폰케이스·욕실화, 발암물질 최대 252배..
서울시 제품 284건 검사 결과 "제품 판매 중지 요청, 소비자 접근 차단" 서울시가 알리익스프레스·테무·쉬인 등 해외직구 제품 284건을 검사한 결과 16개 제품에서 국내 기준치를 크게 초과한 유해물질이 검출됐다. /서울시[더팩트ㅣ정소양 기자] 휴대폰케이스, 욕실화 등 해외직구 제품에서 ..
2024.12.05 08:12
소각장 주변 다이옥신 불안…마포구, 토양오염도 긴급 조사..
박강수 마포구청장(왼쪽에서 두 번째)이 8일 상암동 추가 자원회수시설 입지 예정지에서 긴급 2차 토지오염 조사를 하고 있다. /마포구[더팩트 | 김해인 기자] 서울 마포구(구청장 박강수)는 지난 8일 마포구 추가 자원회수시설 입지 예정지 '긴급 2차 토양오염도 조사'를 실시했다고 11일 밝혔다.이번 ..
2024.11.11 15:11
'중국 직구' 어린이 우산서 기준치 476배 발암가능물질..
서울시, 테무·알리 판매제품 검사 중국 직구 플랫폼에서 판매하는 어린이용 우산에서 기준치 대비 최대 476배의 발암가능물질이 검출됐다. /서울시[더팩트 | 김해인 기자] 중국 직구 플랫폼에서 판매하는 어린이용 우산에서 기준치 대비 최대 476배의 발암가능물질이 검출됐다.서울시는 해외 직구 온라인..
2024.10.25 06:10
해외직구 아이섀도우서 유해물질 19.8배 검출..
서울시가 해외직구 제품 159건을 검사한 결과 화장품 5개와 등산복 1개에서 유해물질이 기존치를 초과했다. /서울시[더팩트 | 김해인 기자] 서울시가 해외직구 제품 159건을 검사한 결과 화장품 5개와 등산복 1개에서 유해물질이 기존치를 초과했다.서울시는 10월 둘째주 해외직구 온라인 플랫폼 판매제품..
2024.10.10 06:10
중국 직구 '어린이 자전거'서 기준치 258배 유해물질..
서울시, 테무·알리 판매제품 검사 중국 직구 플랫폼에서 판매하는 어린이용 자전거에서 기준치 대비 최대 258배의 내분비계 교란물질이 검출됐다. /서울시[더팩트 | 김해인 기자] 중국 직구 플랫폼에서 판매하는 어린이용 자전거에서 기준치 대비 최대 258배의 내분비계 교란물질이 검출됐다.서울시는 해..
2024.08.28 06:08
중국 직구 속옷·화장품서 발암물질·세균 초과검출..
서울시, 알리·테무·쉬인 판매제품 검사 중국 직구 플랫폼에서 판매하는 여성용 속옷과 화장품 등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됐다.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된 립스틱 제품. /서울시[더팩트ㅣ이헌일 기자] 중국 직구 플랫폼에서 판매하는 여성용 속옷과 화장품 등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됐다.서울시는 7월 3째 주 ..
2024.07.18 06:07
중국 직구 어린이 장화서 기준치 680배 발암가능물질..
서울시, 알리·테무·쉬인 판매 제품 검사결과 공개 알리, 테무, 쉬인 등 중국 직구 플랫폼에서 판매하는 어린이용 장화에서 기준치 최대 680배의 발암가능물질이 검출됐다. /서울시[더팩트ㅣ이헌일 기자] 알리, 테무, 쉬인 등 중국 직구 플랫폼에서 판매하는 어린이용 장화에서 기준치 최대 680..
2024.07.04 06:07
화성 참사 부른 '리튬'…소방 규정도 없어 안전 사각지대..
리튬 '제3류 위험물질' 분류…최근 5년간 위험물사고 2위 리튬 관련 허가·저장·운반 규정만 있고 소방 규정은 없어 리튬 등 제3류 위험물질 사고가 1년에 2건꼴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3명의 사망자를 낸 경기 화성시 일차전지 제조업체 아리셀 공장 화재로 리튬 위험성에 대한 경각심..
2024.06.27 10:06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