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1년
1달
기간설정
-
기사
총210건
"민주당은 서민 버렸나"…야4당, '부자감세' 비판 한 목소리..
상속세 최고세율 인하 등 '부자감세'로 규정 민주당 '금투세 폐지'엔 "기득권 동조 멈춰야" 조국혁신당·진보당·기본소득당·사회민주당 등 야4당과 참여연대·민주노총·한국노총 등 노동·시민사회단체는 이날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3차 부자감세 거부와 민생·복지 예산 확충 요구' 기자회견을..
2024.11.25 17:11
[소수정당의 국감<상>] '내가 당의 얼굴' 1인 정당..
한창민 "서민 눈높이에서 문제점 발굴 많이" 용혜인, 재난·참사 예방과 피해자 보호 집중 <더팩트>는 비교섭단체이자 소수정당 의원들의 국감 활동에서 눈여겨 볼 질의들을 살펴봤다. 사진은 지난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의 금융감독원 등에 대한 국정감사 현장, /배정한..
2024.10.24 06:10
[2024 국감] 용혜인 "2호선 '1인 운행' 추진 중단해야"…..
서울시 "안전성 검증 및 공청회 거쳐 추진 예정" 서울 지하철 2호선 합정역에서 시민들이 열차를 기다리고 있다. /더팩트 DB[더팩트 | 김해인 기자] 서울시가 추진 중인 '지하철 2호선 1인 운행'으로 시민 안전이 위협받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15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기본소득당 용..
2024.10.15 19:10
[2024 국감] '국힘보다 더 아프네'…민주당 등 야당, 이재명..
이재명 지사시절 팀장 직위해제 재검토 등 요구 민생회복지원금 선별지급 입장에도 우려 '표명'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4일 오전 경기도청 4층 율곡홀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답변을 하고 있다./경기도[더팩트ㅣ수원=유명식 기자]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14일..
2024.10.14 14:10
대통령실 퇴직공직자 취업 심사 허가 99%…10명 중 9명 재취업..
국세청·감사원은 100%…상위 10개 기관에 국가정보원, 검찰청 등 포함 용혜인 의원 "취업제한제도가 아니라 취업권장제도" 13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이 인사혁신처에서 받은 '퇴직공무원 취업 심사 현황'에 따르면 지난 2020년부터 올해 7월까지 권력기관 퇴직공직자..
2024.10.13 14:10
[2024 국감] 경찰, 스토킹 가해자 전자발찌 신청 2.7% 불..
경찰, 잠정조치 신청 6774건 중 전자발찌는 182건 1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1월~7월 말 경찰의 스토킹 잠정조치 신청 건수는 총 6774건으로 집계됐다. 이중 전자발찌 신청 건수는 182건으로 전체의 2.7%에 불과했..
2024.10.11 15:10
[2024 국감] '투잡' 경찰관 급증…부동산임대업에 인터넷방송까..
영리 겸직 경찰공무원 3년 새 44% 증가 부동산임대업·개인방송·태양광 발전업 등 10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경찰공무원 겸직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겸직한 인원은 549명으로 2020년 404명보다 145명(36%)이 늘었다. /김..
2024.10.10 11:10
야4당 "금투세, 1% 고자산가에 부과…예정대로 시행돼야"..
시민사회단체 등과 기자회견 "금투세, 주식시장 영향 없어" 조국혁신당, 진보당, 기본소득당, 사회민주당과 시민사회단체는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금융투자소득세 시행 촉구했다. 왼쪽부터 윤종오 진보당, 용혜인 기본소득당, 차규근 조국혁신당 의원. / 뉴시스[더팩트ㅣ국회=조채원 ..
2024.09.23 11:09
[가족의 명절<하>] 친구를 입양했다…현실 못 따라가는..
건강가족기본법, 가족범위 혈연·혼인·입양에 한정 국민 인식·현실 바뀌었는데…尹정부는 되려 후퇴 이기일 보건복지부 제1차관과 김미애 국민의힘 의원, 이스턴아동합창단 단원 등 관계자들이 지난해 5월 서울 용산구 노들섬 다목적홀 숲에서 열린 제18회 입양의 날 기념식에서 타임캡슐퍼포먼스..
2024.09.16 00:09
[내겐 너무 먼 귀성길<하>] '1호 법안' 교통약자 ..
2001년 오이도 참사 이후 23년 흘렀지만 여전히 부족한 장애인 이동권 "22대 국회서 교통약자법 전부 개정안 통과돼야" 오이도 참사 이후 23년이 지났지만 장애인들은 여전히 이동권이 보장되지 않는다고 토로한다. 특히 명절 때가 되면 자유로운 이동권을 향한 마음은 더욱 커진다. 사진은 추석 연휴..
2024.09.15 00:09
1
2
3
4
5
6
7
8
9
10
>